대부업체 순위, 대출잘되는곳 정리 > 독자투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사제보

광고상담문의

(054)256-0045

평일 AM 09:00~PM 20:00

토요일 AM 09:00~PM 18:00

독자투고
Home > 기사제보 > 독자투고

대부업체 순위, 대출잘되는곳 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fhufodwt 작성일25-08-04 16:40 (수정:25-08-04 16:40)

본문

연락처 : 이메일 : fhufodwt@example.com
올해 3분기(7~9월) 자산유동화증권(ABS·Asset-Backed Securities) 발행 총액은 9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0조9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1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정책으로 주택저당증권 발행이 줄고, 부동산 정책 등으로 신규 주택 착공·분양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19년 3분기 ABS 발행 실적 분석'을 보면 공공법인과 일반기업, 대부분 금융회사의 3분기 ABS 발행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가운데 증권사는 증가했다.

공공법인인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전년 동기 대비 7000억원(11.7%) 감소한 5조3000억원(전체의 55.1%)의 주택저당증권(MBS·Mortgage Backed Securities)을 발행했다. MBS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 발행하는 ABS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정책으로 2017년 이후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이 감소하면서 이를 기초로 한 MBS 발행 감소세가 지속됐다. 연도별 MBS 발행 규모는 2015년 55조8000억원, 2016년 35조3000억원, 2017년 31조2000억원, 2018년 24조8000억원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기초로 한 일반기업의 ABS 발행액은 2조4000억원(전체의 24.3%)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00억원(14.3%) 감소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 ABS 발행액은 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60.0%) 줄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 등으로 부동산 경기의 불확실성이 증대돼 건설사의 신규 주택 착공·분양이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금융회사는 2000억원(9.5%) 감소한 1조9000억원(전체의 20.6%)의 ABS를 발행했다. 은행은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6000억원, 여전사는 카드채권·자동차할부채권 등 할부금융채권을 기초로 9000억원, 증권사는 중소기업 발행 회사채를 기초로 채권담보부증권(P-CBO) 4000억원을 각각 발행했다.

이 중 증권사의 발행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300.0%) 증가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중소기업 자금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회사채 등을 기초로 2000억원 규모의 신규 P-CBO를 발행한 영향을 받았다.

유동화자산별로 보면 MBS·NPL 등과 관련된 대출채권 기초 ABS 발행액은 5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원(14.5%) 줄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주택금융공사의 MBS 5조3000억원과 NPL 기초 ABS 6000억원 등이다.

카드채권·자동차할부채권 등 매출채권 기초 ABS 발행액은 6000억원(15.4%) 감소한 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카드채권 기초 ABS 6000억원, 자동차할부채권 기초 ABS 3000억원,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등 기업매출채권 기초 ABS 2조2000억원, 부동산 PF 기초 ABS 2000억원 등이다.

중소기업 회사채를 기초로 한 P-CBO 발행액은 3000억원(300.0%) 증가한 4000억원이었다.


3분기 ABS 발행 9.6조원, 11.9% 감소… 가계대출 억제 영향은?

ABS 발행 현황과 주요 통계 감소 원인 분석: 가계대출 규제의 영향 ABS 시장 전망과 금융계 반응 투자자와 금융기관을 위한 시사점 최근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규모는 9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습니다. 이는 2022년 같은 기간 10조9000억원이 발행된 것과 비교해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한 것입니다.
ABS 발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이 꼽힙니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Mortgage Backed Securities) 및 신용대출(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s) 관련 ABS 발행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특히 2분기부터 본격화된 DSR 규제와 대출 한도 강화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조와 더불어 가계부채 관리 정책이 ABS 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며 "은행들의 대출 성장률 둔화가 유동화 증권 발행 감소로 이어지는 구조"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4분기 ABS 시장이 연말 자금 수요 증가로 부분적인 반등이 예상되지만, 전체적인 감소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봅니다. 특히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정책이 지속되는 한 MBS 중심의 ABS 발행 회복에는 한계가 있을 전망입니다.
투자자들에게는 ABS 수익률 변동성 증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금융기관은 자금 조달 다각화 전략 재검토가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한편, 기업회생채권(NPL ABS) 등 일부 부문에서는 정책 지원 효과로 발행이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키워드: ABS 발행, 자산유동화증권, 가계대출, DSR 규제, MBS, 금융정책, 부채관리, 금융시장



기업·가계대출 부실 우려 급증…“금융 리스크 관리 강화를”
`문전성시` 안심대출에…금융계 몸살
BNK금융 부산은행-경남은행, ‘BNK 2023년 희망찬 설날특별대출’ 공동 지원
'기술 믿고 대출' 이면엔 '등급 장사'…"은행-평가사 유착, 신뢰 타격"
빚에 허덕이는 가계·기업… 대출연체율 소폭 상승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높아져…가계대출보다 높아






m3e4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광고문의 기사제보 독자투고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청소년 보호정책 저작권 보호정책

법인명 : 주식회사 데일리광장 | 대표자 : 나종운 | 발행인/편집인 : 나종운 | 사업자등록번호 : 480-86-03304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경북, 아00826
등록일 : 2025년 3월 18일 | 발행일 : 2025년 3월 18일 | TEL: (054)256-0045 | FAX: (054)256-0045 | 본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송림로4

Copyright © 데일리광장. All rights reserved.